모바일 게임 P2P 거래 및 아이템 쇼핑몰 웹 서비스 구축
모바일 (웹) 버전에 맞춰서 기획만 되어있는 상태 입니다.
모바일 화면 기획서를 기준으로 PC 화면 기획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1.5개월 ( 45일 ) 이내에 홈페이지 기본 기능을 기준으로 한 1차 개발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필요 요소 :
+ PC 웹 화면 및 기능 기획
+ PC 및 Mobile 웹 디자인
+ PC 및 Mobile 웹 개발
+ 서버 구축 및 백엔드 개발
준비 중인 서비스는 게임 아이템 거래 쇼핑몰 사이트입니다.
사이트의 주 목적은 P2P 아이템 거래 입니다.
관리자에서 등록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또는 유저 간 거래를 지원합니다.
거래는 기본 PG연동을 통한 결제와 지갑 연동을 통한 코인 결제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지갑은 개발이 되어있습니다.
요청 사항 :
- 유저 단 사이트 개발
- 어드민 개발
- 백엔드 개발
- 쇼핑몰은 PG사가 포함 됩니다.
- P2P 아이템 거래는 암호화폐를 통한 거래입니다.
서버 및 언어스팩은 다음과 같이 작업을 했으면 합니다.
front, back-end 분리
back-end :
- 게임 ↔ 사용자 API 연동 시 Token 발급, 갱신 방식
MySQL 기존 사용자 정보 마이그레이션
[개발 언어]
Front-end :
Back-end :
1. NodeJS
2. JAVA
3. Restful API
DB : Mysql 또는 MariaDB
기타 : MQ, Redis
참고사이트:
- https://ko.marketmach.com/main < 중고 거래 제외 >
- http://trade.itembay.com/intro
파트너 지원 전 질문 :
-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까?
-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안이 있으십니까?
-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MonaCoin(MONA) 탈중앙화 P2P 거래 토큰이란?
PortalCrypt / 교육 / MonaCoin(MONA) 탈중앙화 P2P 거래 토큰이란?
2014년 2월 Watanabe로만 알려진 익명의 설립자가 시작한 MonaCoin(MONA)은 P1,58P(Peer-to-Peer) 거래에서 법정 화폐를 대체하도록 설계된 암호화 자산입니다. MONA의 가격은 약 65달러이며 현재 주식은 103만 달러가 넘고 시장 가치는 XNUMX억 XNUMX만 달러가 조금 넘습니다.
모나코인이란?
초기 암호화 프로젝트로서 MONA는 다음과 같은 이전 버전과 유사합니다. 비트 코인 ( BTC ) 그리고 라이트 코인 (LTC)의 주요 목적은 일상적인 P2P 거래를 명목 화폐로 용이하게 하는 것입니다. MonaCoin 프로젝트는 2chan 이미지 보드에서 인기를 얻은 일본 밈 기반 ASCII 고양이 캐릭터 Mona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2013년에 소위 와타나베 씨가 처음으로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게시한 곳이기도 합니다. MonaCoin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2chan의 원래 게시물에서 Mr. Watanabe는 코인이 비디오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많은 독점 코인과 유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MONA는 라이트코인(LTC) 블록체인의 포크이며 작업 증명(PoW) 시스템을 사용하여 블록체인에서 새 블록을 커밋합니다.
그 이후로 많은 업데이트가 MONA를 이전 모델과 차별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MONA는 ASIC에 저항하도록 지속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줄임말)은 특별히 설계된 고전력 칩을 사용하여 특정 해싱 알고리즘을 추출하는 기계입니다. 이러한 기계가 만들어졌을 때 GPU 마이닝 플랫폼은 구식이 될 위험이 있었고 ASIC 마이너는 불공정한 이점을 얻을 가능성이 있었습니다. 네트워크에서 ASIC 마이닝을 피하기 위해 MONA는 Vertcoin(VTC) 및 이전 LTC와 같은 Scryp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출시되었습니다. Scrypt 알고리즘은 결국 MONA의 ASIC 마이닝을 허용했을 ASIC 개발자에 의해 해독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MONA는 ASIC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Lyra2Rev2 해싱 알고리즘으로 전환해야 했습니다.
MONA의 커밋 시간은 XNUMX분 정도로 빠를 수 있으며 MONA가 SegWit 주소를 구현하여 이전 단계를 따랐기 때문에 빠르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MonaCoin은 무엇에 사용됩니까?
MONA는 2014년 일본 기반의 Mt. Gox 거래소가 하락한 후 일본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관련 TV 보도에서 MONA는 일본에서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개발하는 안전한 대안으로 Mt. Gox가 설립한 Mt. Gox와 달리 선전되었습니다. 미국 프로그래머. TV 쇼는 한 남자가 MONA를 사용하여 신사를 구입하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신사는 많은 새로운 일본 사용자를 암호화에 끌어들인 지역 종교 관계였습니다.
많은 정부의 저항에 직면한 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와 달리 P2P 거래 소개 MONA는 일본 금융청(FSA)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FSA는 일본의 은행, 보험, 증권 및 외환 정책 개발을 담당하는 일본 정부 기관입니다.이 승인을 통해 MONA는 일본 전역의 많은 산업 분야에서 정기적으로 거래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타사 모바일 앱을 통해 MONA와 거래합니다. MONA를 사용하는 주요 응용 프로그램 및 플랫폼은 사용자가 MONA를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는 Monappy입니다. 사용자는 앱 내에서 디지털 또는 실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으며 Monappy 웹사이트를 사용하여 MONA를 사용하는 스트리머에게 팁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일본에도 MONA를 사용할 수 있는 ATM이 많이 있습니다. MONA는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다른 곳에서는 훨씬 덜 사용되는 것을 보았고 일본 이외의 핸드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MonaCoin에 대한 공격
일본에서 MONA 관련 해킹 사건이 여러 건 있었는데, 이 사건은 도쿄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팀의 범죄수사였다. 2019년에 적발된 최초의 해커 중 한 명이 Monappy 앱에서 MONA를 불법적으로 제거했습니다. 97.000명으로 추산된다. 토큰 7.700명의 Monappy 사용자의 MONA가 불법적으로 제거되었습니다. 도난당한 MONA는 강도 당시 약 $50.000, 도둑을 잡았을 때 $134.000 정도였습니다.
MONA는 또한 13년 15월 2018일부터 90.000일까지 블록체인 수준의 공격을 받아 약 $51의 손실을 입었습니다. 이번 공격은 비밀 채굴자가 모나코인 네트워크를 장악한 XNUMX% 공격이었다. 광부는 다른 모든 광부들을 합친 것보다 더 빨리 잠금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그는 그것을 비밀로 유지했습니다. 공격자가 커밋된 잠금을 전송하면 공식 블록체인이 변경되어 공격자가 잘못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채굴 네트워크가 커밋된 블록의 길이를 기반으로 공식 블록체인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비밀 블록이 전송되면 해당 비밀 블록체인에서 추출된 모든 블록은 즉시 고아가 됩니다. 이 비밀 광부는 P2P 거래 소개 XNUMX일 동안 다른 광부보다 앞서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우연히 발생했을 때 평소보다 더 많은 블록이 고아가 되었습니다.
광부는 또한 각 블록에서 커밋할 트랜잭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비밀 광부는 개인 거래를 의도적으로 무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래는 여전히 다른 블록체인에서 확인됩니다. 이것은 비밀 광부가 이 다른 블록체인이 고아가 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을 위해 자산을 얻기 위해 거래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거래는 비밀 광부에게 사실상 무료입니다.
이 공격은 초기에 MonaCoin이 새로운 블록에 대해 쉬운 난이도를 설정하여 공격자에게 취약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그 이후로 MONA 개발자는 이 버그를 수정했습니다.
MonaCoin 뒤에는 누가 있습니까?
와타나베 씨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가 여전히 MONA에 관여하고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합니다. 그러나 익명의 열정적인 자원 봉사자 팀이 MONA를 계속 개발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프로젝트 설립 직후 MONA 개발의 일부를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MonaCoin Foundation은 정보 공유를 촉진하고 지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익명의 설립자나 개발 팀이 암호화 체계의 적신호인 경우가 많지만 MONA는 그 정당성을 입증했으며 익명의 팀은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모나 가격 내역
MONA의 가격은 1,30년 2020월부터 2021년 2021월까지 약 $2,82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비투기 자산을 의도한 자체 개발에 따른 가격 변동 가능성이 적습니다. MONA의 가격이 약 $4,02에 도달한 16년 2021월부터 몇 가지 주요 이익이 있었습니다. 이는 XNUMX년 XNUMX월 XNUMX일 약 $XNUMX의 연도 동안 최고치에 도달하기 전에 계속 변동했습니다. 가격은 다음 달에 변동했지만 XNUMX월 중순까지 전반적인 하락 추세를 따랐습니다. MONA의 많은 가격 움직임은 이 기간 동안 암호화 가격의 일반적인 추세와 일치합니다. MONA가 달성한 높은 가격은 같은 기간 비트코인(BTC) 가격 기록에서도 유사하게 볼 수 있습니다.
MONA는 시가 총액 기준으로 383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 많은 이전 제품과 마찬가지로 MONA는 최대 공급량이 105,12억 66만 토큰인 제한된 공급 암호화입니다. 약 62만 개의 토큰이 채굴되었으며 이는 전체의 약 1,051%에 해당합니다. MONA 출시 이전에 사전 채굴된 토큰이 없었기 때문에 채굴된 모든 공급이 대중에게 순환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MONA 채굴 블록 프리미엄은 9만 2020 블록마다 절반으로 줄어들며, 마지막 절반은 26년 2023월 XNUMX일에 발생합니다. 다음 감소는 XNUMX년 XNUMX월 XNUMX일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나코인의 미래는?
MonaCoin 팀은 MONA를 비투기성 자산으로 제시하여 일상적인 거래에 사용하려는 MONA의 의도된 목적을 위해 조금 더 합법성을 만듭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암호화 프로젝트와 P2P 거래 소개 마찬가지로 MONA는 가격 투기의 영향을 피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다른 암호 화폐와 마찬가지로 MONA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시장이 진정되면 평준화되기 전에 암호 화폐 실행 중에 변동합니다. 이러한 변동은 MONA를 장기 투자로 보는 사람들에게는 좋지만 일상적인 거래에 MONA를 사용하는 많은 일본인에게는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MONA는 일본 정부의 승인을 통해 다른 많은 암호화 프로젝트와 차별화되며 일본에서 훨씬 더 높은 소비자 수준의 채택률을 보이고 있어 MONA는 일본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강력합니다.
일본 외에서 MONA의 인기가 낮은 것은 일본의 법정화폐를 대체한다는 목표에 P2P 거래 소개 유리하며, MONA의 전 세계적인 채택은 이러한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또한 더 많은 투기적인 거래자를 가져올 것입니다.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MONA를 널리 채택하면 지역에 따라 제품 비용이 다르기 때문에 가격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채택으로의 초기 전환으로 인해 다른 국가의 사용자가 이 통화 변환에 적응함에 P2P 거래 소개 따라 MONA의 가격이 변동할 수 있습니다.
일부 투기적 거래를 제외하고 MONA의 가격은 이미 일본 경제에 통합되어 있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현재 일본 사용자 P2P 거래 소개 기반에 가장 적합한 시나리오입니다.
많은 프로젝트에서 일상적인 거래에 대한 법령을 대체하려고 합니다. 정부와 소비자 수준 모두에서 MONA만큼 많은 채택을 달성한 기업은 거의 없습니다. 일본 시장이 MONA를 P2P 거래 소개 계속 수용하는 한 비교적 안정적인 암호화 자산으로 계속 발전할 것입니다. 그러나 MONA의 미래가 펼쳐짐에 따라 대상 사용자의 문화를 이해하는 그룹이 개발한 암호화 자산의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비트코인 및 기타 암호화폐 구매 및 판매 게이트아이오
지금 등록하고 $100 적립 적격 예금 및 거래에 대한 보너스 보상.
* PortalCripto는 정보의 질을 중시하며 해당 팀이 제작한 모든 콘텐츠를 검증함을 증명하지만, 어떠한 형태의 투자 권유도 하지 않으며 손실, 손해(직간접적, 우발적 ), 비용 및 이익 손실.
미국 제친 중국 P2P 시장, 성장 배경과 특징은?
지난해 발표된 모건스탠리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P2P 시장이다. 최근 2년 사이 중국의 P2P 시장은 4조5천억 원 규모에서 84조9천억 원 규모로 20배 이상 성장했다. 2020년경에 이르면 P2P가 태동한 미국의 4배 규모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어떤 산업에서건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대국이지만, P2P 산업이 이토록 빠른 속도로 커진 P2P 거래 소개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다. 지난주 국내 P2P 업체인 어니스트펀드는 를 통해 중국과 국내 P2P 산업의 현황을 공유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P2P 시장의 특징을 정리해봤다.
그림자금융의 토대 위에서 태동한 중국 P2P 산업
그림자금융이란 ‘은행과 비슷한 기능을 하면서도, 엄격한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기관과 그러한 금융 기관들 사이의 거래’를 뜻한다. 이를 P2P 거래 소개 통한 자금 융통은 상대적으로 수월하지만, 예금자 보호를 받기 어렵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성이 높다.
중국인 중 정식적인 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국민의 비율은 2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신용 평가 기준이 까다롭고, 신용 정보조차 없는 국민이 다수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중국에서는 은행 대출 거절자들을 대상으로 2000년 대 초반부터 그림자금융이 태동했다. 이는 이미 중국에서는 ‘민중금융’이라고 불릴 정도로 대중화된 자금 융통의 방법이다.
국제 신용평가사인 무디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에만 중국의 그림자금융 규모가 30% 증가했다. 최근에는 이 그림자금융이 국가 부실 경제의 주범으로 꼽혀 중국 정부 차원에서 그림자금융의 주범으로 꼽혀온 자산관리상품(WMP)에 대한 규제 강화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 그림자금융이 2008년부터 P2P와 결합하면서 중국의 핀테크 산업은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했다.
신용 정보 없는 국민 다수… 결제·핸드폰 사용 내역 등 비금융 빅데이터 연구 활발
앞서 말했듯, 중국 국민 중 절대다수가 신용 정보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신용 평가 기관에서는 이를 NFTF(No File Thin File) 상태라고 부른다. 일반 신용 정보 자체도 파편적으로 존재한다. 약 20개 이상의 신용 정보 평가 기관이 있고,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범위도 협소하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자연스레 비금융 빅데이터의 연구와 활용이 활발해졌다.
중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비금융 빅데이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바이두 등 검색 포털에서의 사용자 기록, 알리페이 결제 내역, 온라인 구매 내역, 핸드폰 사용 내역 검토 등 지난 몇 년 간 중국에서는 신용이 없는 고객의 신용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과 P2P 거래 소개 투자가 계속되어 왔다.
한 예로 알리바바의 경우 작년 신용 평가 모형인 세서미 크레딧(Sesame Credit)을 자체적으로 만들기도 했다. 알리바바는 독특하게 이 신용 평가 모형을 SNS와 결합한 게임으로 내놓았다. 사용자는 교통·주거·금융·쇼핑·인간관계라는 5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온라인 상의 활동에 따라 ‘얼마나 좋은 사람인지’를 평가받는다.
이 모형은 개인 SNS 상에 중국 공산주의에 반하는 기사를 공유하거나 일제 제품을 구매하면 신용 점수가 떨어지는 등, 개인의 정치적 성향도 반영하고 있어 현대판 판옵티콘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이 세서미 P2P 거래 소개 크레딧 제도를 의무화하고 여권 발급, 대출 심사의 기준 중 하나로 채택할 예정이다. 형평성과 정당성 논란을 피할 순 없겠지만, 세서미 크레딧이 중국의 비금융 데이터 적극적인 활용 현황을 증명해주는 사례임은 분명하다.
타 금융 상품까지 엮는 종합 금융 플랫폼 성격 띠며 성장 중
중국인은 일반적으로 가계 수입의 50%를 저축하고 있다. 가구 당 평균 가계 저축액은 세계 1위 수준이다. 이 돈을 은행에 맡길 경우의 이자율이 평균적으로 2~3%라면, P2P 투자 수익률은 8~10%에 이르기 때문에 P2P는 자연스레 매력적인 금융 상품으로 인식됐다. 많은 자본이 P2P 투자 쪽으로 몰리다보니, 플랫폼들은 중국을 넘어 미국 등 해외 투자 상품이나 주식, 채권 등 다양한 금융 상품으로의 투자를 유도하며 영역을 넓히고 있다.
경쟁·규제 심화로 문 닫는 기업도 매년 수백 개
그러나 부정적인 일면도 존재한다. 중국에서는 매년 수백개의 P2P 업체가 생겨나고, 사라지고 있다. 중국은행감독관리위원회 조사에 따르면 작년 11월 말 등록된 2,600개 P2P 업체 중 38%이상이 부실 플랫폼으로 평가받았다. 2015년에만 하반기에만 약 270개의 관련 업체가 문을 닫았다. 과당 경쟁과 더불어 중국 정부의 규제가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 네거티브 규제 정책으로 과도하게 규제에 나서지 않음으로써, P2P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을 들어왔다. 그러나 대출 사기가 빈번해짐에 따라 현재는 중국은행감독관리위원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규제에 나선 상황이다.
이에 대해 어니스트펀드 서상훈 대표는 “2015년 초까지만 해도 중국의 P2P 업체들이 원금과 수익을 무조건 보장한다는 식으로 고객을 유치해온 것이 문제”라면서, “현재는 정부 차원에서 투자 자금을 은행에 위탁해 관리하라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들어나가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중국의 부실 금융 사태를 지켜본 정부 당국에서도 오는 10월 P2P 투자자 P2P 거래 소개 P2P 거래 소개 보호 관련 가이드라인을 내놓을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P2P금융이 대부업 법규 아래에서 관리되고 있어, 관련 법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계속 되어왔다.
기사입력 2017-05-21 05:00:10 폰트크기 변경
P2P대출(Peer to Peer Lending·개인간 대출)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자칫 부동산 경기가 악화돼 투자금 회수가 안정적으로 이뤄지지 않게 되면 연체율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4월말 P2P 누적대출액은 1조1297억원이다. 이 가운데 부동산 PF대출이 6760억원으로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부동산 PF대출은 매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53억원에 불과하던 부동산 PF대출은 지난해 말 2886억원으로 1786%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4개월만에 134% 늘어났다.
P2P 금융시장에서 부동산 PF대출 규모가 커진 원인은 돈이 되기 때문이다.
부동산 PF 대출은 건축물이 들어설 예정인 토지나 건물을 담보로 잡고 자금을 빌려준다. 투자 기간도 3~12개월로 개인 신용대출에 비해 짧고 예상 P2P 거래 소개 투자 수익률은 평균 연 10%대다.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수익률도 높고 담보가 있기 때문에 신용대출 상품보다 안전성이 높아 선호할 수 밖에 없다.
P2P업체들은 대출 금액이 많으면 그만큼 수수료를 많이 챙길 수 있고, 대출 잔액이 커지면서 회사의 규모가 커 보이는 효과까지 노릴 수 있다.
P2P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부동산 PF 상품의 수익률은 연 10% 중반대로 수수료를 제외해도 10%대의 고수익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개발 사업이 무산되거나 지연됐을 때 투자자들의 피해가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부동산 투자 상품의 담보는 미래에 지어질 건물 가치를 측정한 것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크다.
만약 건물을 지을 당시보다 부동산 경기가 나빠지면 실제 가치는 더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미분양이 나거나 공사가 중단되는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투자자들은 건물이 팔릴 때까지 원금과 이자를 못 받고 마냥 기다려야 한다.
또한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는 후순위채권인 경우 P2P 거래 소개 대출자가 돈을 갚지 않으면 담보를 처분하더라도 원금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금융당국 역시 P2P대출업계에서 부동산 PF 대출 쏠림 현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부실로 인한 투자자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위기의 카드업①] 너도나도 진입…도전시장 전락한 카드업계
[앵커]
빅테크, 핀테크, 인터넷은행 등 새로운 플레이어들이 편리한 플랫폼으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훔치면서 결제시장도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 덕분인지 카드사들의 고유 영역이던 결제시장에 대한 인식도 바꿔놓았는데요.
반면 카드업계는 전혀 다른 상황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결제 시장에서 설자리는 좁아졌고 심지어 이종사업의 도전시장으로 전락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카드업계 상황이 어떤지 김미현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카드를 많이 사용하는지 시민들에게 직접 물어봤습니다.
"온라인 쇼핑할 때는 카드보다는 그냥 카카오페이나 네이버페이를 많이 쓰게되는 것 같아요."
"결제할 때 주로 자주 카카오페이 쓰는 것 같아요."
이같이 지급결제시장에서 전통 카드사들의 존재감은 작아지는 중입니다. 사실상 온라인 거래는 네이버나 카카오 등 빅테크 간편결제가 장악했습니다.
이들은 카드사의 강점 영역이었던 오프라인 결제까지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QR기반 독자결제망을 확대하고 결제와 멤버십 적립을 한 번에 가능하게 하는 등 편의성을 무기삼아 이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이곳뿐 아니라 전국 모든 편의점에서 이렇게 빅테크의 결제시스템으로 물건을 살 수 있을 뿐 아니라 할인과 적립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습니다.”
선불충전금 P2P 거래 소개 같은 비카드 결제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카카오페이 등 국내 72곳 전자금융업자의 전체 선불충전금 규모는 총 2조9,934억원. 지난 2017년(1조 2,484억원)보다 140%가 늘었습니다.
전자기기 업체였던 애플은 최근 아예 아이폰 자체를 결제 단말기로 쓸 수 있는 '탭 투 페이(Tap to Pay)' 서비스를 선보이며 독자적인 결제서비스 구축에 나섰습니다. 탭 투 페이는 카드결제단말기나 포스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아이폰 만으로 결제가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다양한 핀테크 업체들이 신용카드 기능이 더해진 후불결제사업까지 뛰어들면서 카드업 존재 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류창원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낸 보고서에서 "최근 지급결제시장의 환경 변화는 카드업이 지속가능한 산업이 될 수 있을까 하는 우려를 낳게 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카드사들의 다른 주 수익원인 중금리 대출 영역도 상황은 마찬가집니다. 월등한 디지털 기술을 갖춘 인터넷은행과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업체들이 시장에 무섭게 뛰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중금리 확대를 목표로 태어난 인터넷은행들은 자체 개발한 신용평가모형을 통해 대출 금리를 싸게 해주면서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최근 토스뱅크는 카드사들의 카드론을 보다 싼 금리로 대출을 갈아타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대환대출 플랫폼'을 개발해 카드업계를 긴장시켰습니다.
치열한 경쟁의 장이 된 카드업종. 강력한 경쟁자들 속에서 어떤 생존전략을 내놔야 할지, 카드사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email protect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