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지수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산출기관: Indxx, LLC (미국 뉴욕에 소재한 지수사업자로 2005년에 설립되어 글로벌 테마형 위주의 독창적 지수개발을 중점으로 하는 회사)

본연구의 목적은 세계 주식시장에서 일반화 된 현상으로 받아들여지는 동조화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증시가 아시아 주요국의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어느 나라가 미국증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또한 Dow지수와 S&P500지수 중 어떤 주가지수가 아시아 주식시장에 영향을 많이 US 지수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전 세계적으로 각 국가들은 무역자유화와 자본자유화, FTA 등을 통하여 경제통합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자본이동의 자유화가 확대됨에 따라 각국의 금융시장의 글로벌화가 진전되고 금융시장의 가격변동이 같은 US 지수 움직임을 보이는 동조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통합화가 심화됨에 따라 개별 기업들의 주가가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가 반영되어 결정되면서 각 국가들의 주가지수가 같은 움직임을 갖게 되었다. 특히 US 지수 미국은 세계 경제의 지표역할을 하면서 세계 금융시장의 움직임을 거의 대변하고 있다. 미국의 경제가 앞으로 높은 경제성장율을 유지하느냐, 못하느냐의 여부가 향후 세계 경제 움직임을 좌우할 수 있는 요인으로 부각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보이는 이유는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이 계속 되면서 투자자들이 미국을 주시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미국의 주가가 상승하면 전 세계 투자자들의 심리도 안정되고, 반대로 미국의 주가가 하락하면 전 세계 투자자들의 심리도 위축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2003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의 일별자료, 주간자료, 월간자료를 사용하여 각 기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선택변수로는 미국의 Dow지수, S&P500지수, 아시아 지수로는 호주지수(All Ordinaries Price), 항생지수(홍콩), Taiex지수(대만), SET지수(태국), STI 지수(싱가폴), JAKARTA지수(인도네시아), Manila지수(필리핀), 그리고 KOSPI지수(한국)로서 총 9개국의 증시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은행, 한국증권거래소, 통계청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단위근검정, 공적분검정을 통해 통계분석방법을 결정하여 VAR과 VECM을 통해 그랜져인과관계검정, 충격반응테스트,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하여 아시아 주요 국가의 주가지수가 미국의 S&P500지수보다는 DOW지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모든 미국증시의 변화에 따라 아시아 주요국의 증시가 많이 움직이고 있다고 믿어왔지만, DOW지수가 직접적인 영향을 많이 줄 뿐 S&P500지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ctions of Asia major countries's stock markets to the U.S. stock price changes. And easily find the co-movements among the world stock markets. We examine among national stock prices of eight Asian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stock markets- Korea, Australia, Hong Kong, Taiwan, Singapore, Indonesia, Philippine, Thailand- in models incorporating the established markets of USA. In this paper, Time-series techniques are used unit root testing, multivariate cointegration, Granger Casuality testing, Vector Error-Correction Modelling(VECM), impulse response functions and Variance US 지수 decomposition funct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each variable has gotten more unstable. Second, In the unit root test, each time series was unstable one that has unit root. This result made me use differenced data for this empirical study. Third, In the Granger Casuality test, US 지수 this paper shows that DOW index influences on the Asia major nations Index in the whole time. Through the variance decomposition test, it was proved that DOW Index is the most affected variable of the Asia major countries's stock pri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ctions of Asia major countries's stock markets to the U.S. stock price changes. And easily find the co-movements among the world stock markets. We examine among national stock prices of eight Asian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stock markets- Korea, Australia, Hong Kong, Taiwan, Singapore, Indonesia, Philippine, Thailand- in models incorporating the established markets of USA. In this paper, Time-series techniques are used unit root testing, multivariate cointegration, Granger Casuality testing, Vector Error-Correction Modelling(VECM), impulse response functions and Variance decomposition functions.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each variable has gotten more unstable. Second, In the unit root test, each time series was unstable one that has unit root. This result made me use differenced data for this empirical study. Third, In the Granger Casuality test, this paper shows that DOW index influences on the Asia major nations Index in the whole time. Through the variance decomposition test, it was proved that DOW Index is the most affected variable of the Asia major countries's stock price.

US 지수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되는 디지털 경제 여건 속에서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산업은 무엇일까요?
플랫폼 비즈니스의 독보적인 지위를 통해 다양한 혁신 산업을 확장하며 성장 중인 초대형 테크 기업이겠죠.
이들은 콘텐츠, 클라우드, 전자상거래, 자율주행,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US 지수 다양한 혁신 테마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Netflix, Microsoft, Apple, Paypal, intel, Google, amazon, TESLA, nVIDIA

알파벳, 애플, 그리고 넷플릭스가 주도하는 콘텐츠 산업, AWS, MS, 구글이 선점하고 있는 클라우드 산업, 아마존과 페이팔이 선점 중인 전자상거래 산업, 테슬라, 애플, 아마존이 선점 중인 자율주행 산업까지. 거대 플랫폼 기업들은 기술과 자본력, 그리고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다가올 신성장 테마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혁신 테마로 사업을 다각화 하는 것 US 지수 외에도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소스를 갖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 자본력과 기술력, 인력, M&A 능력 등 플랫폼 기업들은 혁신에 필요한 소스를 이미 보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끊임없는 혁신으로 인한 ‘성공의 경험’ 이야말로 그들의 가장 큰 무기라고 할 수 있겠죠.

Tech TOP 10 성공의 경험

플랫폼 비즈니스를 통해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혁신을 거듭 중인 빅테크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고요?
혁신 성장의 key를 쥐고 있는 미국 TOP10 기업을 한꺼번에 묶어 투자하는 TIGER 미국테크 TOP10 INDXX ETF 하나면 충분합니다.

수익률 그래프

  • 상기 그래프는 분배금을 제외한 NAV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대표지수는 나스닥 지수 입니다.

수익률(단위%)

ETF가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를 말하며,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도 불립니다. 투자자는 ETF의 수익률과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비교해 봄으로써 ETF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행시장에서 투자자와 ETF운용회사(집합투자업자) 사이에서 설정 또는 환매를 위한 창구역할을 하는 증권회사를 말합니다. 각 ETF별로 복수의 AP를 지정하고 있으며, AP는 투자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투자자를 대신해 설정 또는 환매에 필요한 PDF를 직접 매매해 줌으로써 투자자가 현금만으로 ETF를 설정 또는 환매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도 합니다.

유통시장에서 ETF 매매가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ETF의 유동성을 책임지는 증권회사를 말합니다.
통상 AP 중에서 1개사 이상이 LP로 지정되며, LP는 일정 수준의 호가범위 안에서 매수와 매도 물량을 공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장중 대부분의 시간 동안 ETF의 NAV 또는 iNAV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으며, 거래량이 낮은 ETF라도 언제든지 거래가 가능하게 됩니다.
(다만, 오전 9:00~9:10 및 오후 2:50~3:00까지의 동시호가시간대에는 LP의 호가제공 의무가 없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ETF가 추종하고자 하는 지수를 말하며, 통상 비교지수, 벤치마크(Benchmark) 등으로도 불립니다. 투자자는 ETF의 수익률과 기초지수의 수익률을 비교해 봄으로써 ETF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산출기관: Indxx, LLC (미국 뉴욕에 소재한 지수사업자로 2005년에 설립되어 글로벌 테마형 위주의 독창적 지수개발을 중점으로 하는 회사)

- 지수개요: 미국 나스닥 상장 주식 중 미국의 금융데이터 기업인 FactSet Industry 기준으로 'Tech-Oriented' 기업이 속하는 섹터를 선별한 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으로 구성

* Tech-Oriented 기업이란?
주로 기술 제품/서비스를 다루거나 독자적 기술에 바탕한 소비재/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KODEX 다우존스미국리츠(H) (352560)

전 세계 리츠(REITs) 시장에서 가장 큰 미국 리츠 시장!
각 섹터별로 골고루 분산되어 선진화된 미국 리츠 시장에 투자하세요.

기준일 : 2022.07.21 15:30:00 (본 정보는 20~30분 지연 정보입니다.
당일 거래가 없을 경우에 현재가는 전일 종가가 표기됩니다. )

상품 정보열기

이 투자신탁은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리츠(REITs)와 부동산개발·관리·보유·중개 등 부동산 관련 기업의 주가를 대상으로 S&P Dow Jones Indices LLC가 산출·발표하는 Dow Jones U.S. Real Estate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그 운용목적으로 합니다.

기초지수정보

DowJones US Real Estate Index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REITs(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와 부동산개발·관리·보유·중개 등 부동산 관련 기업으로 구성된 지수입니다.

관련 자료

펀드 리포트

KODEX 뉴스

KODEX 리포트

KODEX TV

수익률 / 기준가열기

투자종목정보(PDF)열기

  • 집합투자증권을 취득하시기 전에 투자대상, 보수, 수수료 및 환매방법 등에 관하여 (간이)투자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운용결과에 따라 투자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손실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금융상품판매업자는 위 금융투자상품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자는 투자에 앞서 그러한 설명을 충분히 들으시기 바랍니다.
  • 집합투자증권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하지 않습니다.
  • 증권거래비용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과거의 운용실적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 주식형 펀드는 주식시장 급락 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채권형 펀드는 채권금리가 상승하거나 편입한 채권이 부도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화자산의 경우 환율변동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파생상품은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단기간에 투자원금의 전부 또는 상당부분을 잃을 수 있으며, 장외파생상품에 투자하는 경우 거래 상대방이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이 있습니다.
  • 레버리지펀드는 투자원금 손실이 크게 확대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펀드(2배, 인버스, 인버스 2배)의 기간 수익률은 추종하는 기초자산(지수)의 일간 수익률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버스펀드는 지수를 역(逆)으로 추적하여 상승장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페이지에서는 당사가 운용하는 펀드상품에 대해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수 및 수익률 정보는 투자 참고사항이며 오류가 발생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정보는 코스콤,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공받고 있습니다.)

현재가

ETF가 시장에서 매매되는 1좌당 거래가격을 말합니다.
ETF를 투자할 때에는 현재가와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와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준가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US 지수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 ETF 1좌당 가치를 의미하며,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하루 1번 발표됩니다.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 ETF가 편입하고 있는 자산들의 현재 가격을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ETF의 가치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가격을 참고하면서 매매합니다. 따라서 ETF의 거래가격은 대체로 iNAV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에 따라 거래 가격이 iNAV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 형성(고평가)되거나, 반대로 iNAV보다 낮은 수준에 형성(저평가)될 수도 있습니다.

트레킹에러

펀드와 비교지수 성과차이의 변동성으로 추척오차라고도 합니다. 비교지수를 얼마나 잘 추종 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인덱스펀드에 투자할 경우 주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US 지수

미국 3대 주가지수 -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비교

2019. 11. 14. 11:22

    본문 폰트 크기 조정 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 미국 주식시장 3대지수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S&P500 지수 : Standard & Poor`s 500 Index

나스닥 종합지수 : NASDAQ Composite

시가총액 = 현재주가 x 발행주식수

3대 지수의 관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Dow30은 S&P500에 모두 포함되고 나스닥과는 일부종목만 공유한다.

1971년~2017년까지 3대 지수 비교

나스닥 변동이 가장 심하고

다우 와 S&P500 은 비슷하게 움직인다.

최근 5년은 나스닥 기술주들이 초강세다.

지수 계산방식과 포함하는 종목 수인데

시장전체를 대표하는것은 S&P500으로 인덱스 펀드를 만들때 벤치마크로 가장 많이 쓰인다.

한국으로 치면 다우지수는 삼성전자,현대차,네이버,신한지주 같은 업종 대표주만 10개쯤 뽑아서 주가를 그대로 더한 것과 비슷하고, S&P500은 코스피200과 비슷한 대형 우량주들의 인덱스라고 할 수 있다.

다우지수나 S&P500의 반대 개념으로는 중소형주(small-cap)만 모아 산출하는 러셀2000 (Russell) 지수가 있다. 러셀2000은 1984년 출시되었으며 시가총액 1,001위~3,000위에 해당하는 종목으로 구성된다. 2019년말 기준, 러셀2000의 최근 5년 수익률은 약 35%로 대형주 지수인 다우보다 20%p 정도 낮다. 대형주 강세장 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다우존스 산업지수 ( DJIA )

미국의 가장 오래된 주가지수 (1896~ )

과거로부터의 긴 변화를 보기에 좋다.

30개 대표종목의 주가를 단순평균한 값

처음에는 산술평균방식을 썼으나

현재는 지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평균의 분모를 30 대신, Dow Divisor라는 수를 쓴다.

다우지수에 새 종목 편입/퇴출을 반영하고

어떤 주식이 분할, 합병되었을때

총액 가치는 변화가 없도록 조정해주는 분모값

시간이 지나 주가가 많이 상승하면 액면분할을 하게 되는데, 주식분할로 1주당 주가가 낮아지면 DD값도 작아져서 총가치를 그대로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1 928년 DD = 16.67

현재는 약 0.14748 로 조정되었다.

→ 주가가 1달러 변할때 지수는 6.8pt ( = 1/ 0.147) 변동한다는 의미

종목변경은 120년간 총 51차례 있었고,

평균 지수포함기간은 약 30년이다.

미국 대기업도 30년이상 잘나가긴 어렵다.

1990년 이후 제조업 → 정보기술

2000년 이후 헬스케어, 금융업

아래 표에서 현재 다우지수를 직접 구해보면

DJIA = (30개 주가합) / (Dow Divisor)

2019년 11월 다우30 종목

IT : 애플, MS, 시스코, 인텔, 버라이즌, IBM

미디어,유통 : 디즈니, 월마트, 홈디포

의료 : 머크, 월그린, 화이자, 유나이티드헬스

소비재 : 코카콜라, 존슨앤존슨, 나이키, 맥도날드

에너지 : 엑슨모빌, 셰브론, 다우케미칼

산업재 : 보잉, 캐터필러,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 3M

금융 : 골드만삭스, JP모건,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비자, 트래블러스

엑슨모빌이 왕고참 (1928년 편입)

유나이티드테크놀러지, 다우케미칼도 고참급

시총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장 크지만

다우지수는 주가 숫자가 큰 보잉, 유나이티드헬스의 영향력이 훨씬 높다.

한국으로 바꿔 생각해보면, 주가 5만원인 삼성전자보다 30만원인 LG화학의 영향력이 큰거나 마찬가지다. 어찌보면 비합리적인 방식에다 포함되는 종목도 30개 뿐인데 그래도 신기하게 미국 산업경기를 잘 나타낸다. 일본의 니케이225 지수가 다우를 본따 만든 방식이다.

실제로 과거 S&P500과 다우존스의 상관계수를 살펴보면

correlation = 0.86~ 0.98 이라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구글, 아마존도 다우지수에는 빠져있는데

얘들은 주가가 너무 높아서 평균을 깨버리기 때문이다.

현재 다우 대장 보잉이 약 360달러

vs 알파벳 1300 달러, 아마존 1750 달러

물론 워렌 버핏의 버크셔도 빠져있다.

버크셔 A주 주가는 1주가 무려 33만 달러.

애플은 2014년 7:1 액면분할로 주가를 낮춘후에 다우지수에 편입되었다.

반대로 주가가 폭락한 종목도 빠진다.

종목간 [최고 : 최저] 의 가격비가 10:1 이내로 유지되도록 관리한다고 한다.

2018년 6월, 가전회사 GE가 지수에서 퇴출되고 약국회사 월그린이 새로 편입되었다. 다우지수에 편입되는 것은 미국을 대표하는 회사라는 명예가 따라오는데 GE는 원년 다우멤버 12개 중 살아남은 마지막 회사였다.

122년 만에 모든 종목이 물갈이된 셈이다.

최초의 다우지수는 1884년, 개별 주가 대신 시장전반의 US 지수 추세를 알고 싶었던 찰스 다우라는 기자가 탄생시켰다. 찰스 다우는 다우존스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월스트리트저널 (WSJ)을 창간했는데 바로 이 저널에 발표한 종합주가지수가 다우지수이다. 지금이야 별의별 지수가 다 있지만 1800년대 당시로서는 상당히 신선한 개념이었을 것이다. 최초의 12개의 종목에서 현재 30개 종목까지 확대되었으며 S&P 다우존스사에서 지표조정과 관리를 맡고 있다.

** update) 2020년 8월

다우지수를 관리하는 S&P다우존스인디시즈는 24일(이하 현지시간) 석유회사인 엑손모빌과 제약회사인 화이자, 방산회사인 레이시온테크놀로지스가 이달 31일부터 다우지수에서 제외된다고 밝혔다. 대신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제공업체인 세일즈포스닷컴 과 바이오기업인 암젠 , 항공우주기업 허니웰 이 새롭게 편입돼 이들의 빈자리를 채우게 된다.

다우지수의 US 지수 이같은 변화는 약 7년만의 최대 개편이다. 지난 2013년 알코아와 휴렛팩커드(HP),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다우지수에서 제외되고 나이키와 골드만삭스, 비자가 편입된 바 있다. 다우지수의 이같은 변화는 애플의 주식분할 결정에 US 지수 따른 것이다. 시총 2조달러를 자랑하는 애플은 혼자 다우 지수의 12%를 차지할 정도로 주가가 급상승했다. 이러한 애플이 1주를 4주로 쪼개는 액면분할을 실시함에 따라 낮아진 IT비중을 조정하려는 것이다.

현재 주가로는 유나이티드헬스그룹이 1위를 차지하게 된다. 홈디포와 암젠이 그 뒤를 따르고, 세일즈포스는 6위, 애플은 17위 비중이다. 92년간 다우의 터줏대감이었던 엑손모빌(시총 1750억달러)의 퇴출은 미국 경제의 시대적 변화를 시사한다. 엑손(1928), 레이시온(1939), 화이자(2004) 편입

국제 신용평가기관으로 알려져있는 스탠다드앤드푸어스가 발표하는 지수. 스앤푸에서 회사규모, 유동성, 산업대표성을 감안하여 보통주 500 회사를 선정하고 이를 종합하여 발표한다. 현재는 합작사인 S&P 다우존스사에서 다우지수와 함께 관리하고 있다. ( S&P Dow Jones Indices )

섹터는 공업 400, 운수 20, 공공 40, 금융 40으로 구성되며 실제 종목 수는 알파벳 A주,C주 같은 주식 분리 때문에 505 종목이다.

최근 4분기 수입 총합 흑자

매월 25만주 이상의 거래량

--비유동주식은 제외 (임원,자사주 등)

--차등의결권 제도를 가진 종목은 신규편입 불가 (스퀘어, 스냅, 줌 등)

회사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어야하며 NYSE, NASDAQ, CBOE 중 하나에 상장돼 있어야 한다. 양적, 질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기때문에 이 조건을 모두 충족하더라도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는 경우) S&P500지수 편입이 보장되지는 않는다.

다우지수와 달리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시가총액이 큰 공룡기업들일수록 영향이 크다.

유동주식 비율로 시총을 조정하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등 실제 계산은 더 복잡하지만

쉽게 이해하려면 미국 상위 500개 회사들의 시총 을 모두 더한 걸로 봐도 된다.

S&P500 시총은 미국전체 주식의 약 80%

모든 회사가 포함되는건 아니지만 미국 주식시장을 거의 대표한다고 볼수있다.

따라서 가장 많이 쓰이고 벤치마크로 활용되는 지수인데 특히 ETF는 S&P지수 추종 상품이 많다.

1926년 90 종목으로 시작

1957년 500 종목으로 확대

초기멤버 500개 중 현재 남은것은 약 60개

평균 지수포함기간은 약 24년을 기록했다.

지수 내 종목 교체속도는 점점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1928년 1월3일을 10pt로 산출했다가 10여년간 대공황을 거친 후 1941-43년 다시 베이스지수 10이 되었다. 1982년 S&P 지수가 100을 돌파했는데 현재 S&P 지수가 3,000이라면 1982년 대비 30배 커졌다는 뜻으로 이 기간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다.

Trade 미국 US 지수 달러 지수

미국 달러 지수 Investing

In order to start real trading in Forex & CFD market, you need to:

Start trading in the Forex and CFD markets without risking your own money.US 지수

Try Your Trading

Demo deal was closed with a positive profit.

Your Demo deal was closed with at a loss.

In order to start real trading in Forex & CFD market, you need to:

Start trading in the Forex and CFD markets without risking your own money.

Trading Conditions of USDIDX Index CFD

OptionsStandard-Fixed & FloatingBeginner-Fixed & FloatingDemo-Fixed & Floating
고정스프레드, 핍 15 15 15
Floating Spread, pip 15 15 15
주문거리, 핍 30 30 30
스왑, 핍
(롱/숏)
-4.99 / -14.15 USD per 1000 contract -4.99 / -14.15 USD per 1000 contract -4.99 / -14.15 USD per 1000 contract
숫자 자리수(digits) 0.001 0.001 0.001
이용가능
볼륨
>=100.00 contract 1.00 – 1000.00 contract >=1.00 contract
Contract size -/- -/- -/-
1핍 US 지수 가격
당(per) 1 CONTRACT
0.001 USD 0.001 USD 0.001 USD
Options Standard-Fixed Micro-Fixed Demo-Fixed
고정스프레드, 핍 15 15 15
주문거리, 핍 30 30 30
스왑, 핍
(롱/숏)
-4.99 / -14.15 USD per 1 lot -4.99 / -14.15 USD per 1 lot -4.99 / -14.15 USD per 1 lot
숫자 자리수(digits) 0.001 0.001 0.001
이용가능
볼륨
0.1 – 10000 lot 0.01 – 1 lot 0.01 – 10000 lot
Lot 크기 1000 contract 1000 contract 1000 contract
1핍 가격
당(per) 1 lot
1 USD 1 USD 1 USD
Options Standard-Floating Micro-Floating Demo-Floating
Floating Spread, pip 15 15 15
주문거리, 핍 30 30 30
스왑, 핍
(롱/숏)
-4.99 / -14.15 USD per 1 lot -4.99 / -14.15 USD per 1 lot -4.99 / -14.15 USD per 1 lot
숫자 자리수(digits) 0.001 0.001 0.001
이용가능
볼륨
0.1 – 10000 lot 0.01 – 1 lot 0.01 – 10000 lot
Lot 크기 1000 contract 1000 contract 1000 contract
1핍 가격
당(per) 1 lot
1 USD 1 USD 1 USD

IFC Markets와 함께 지수 CFD를 거래 및 CFD 거래 혜택을 누리십시오

650+ Trading Instruments - Currencies, stocks, commodities, metals, indices, ETFs and crypto futures

Your own synthetic instruments - using GeWorko method

Advanced Trading Platforms -NetTradex, Metatrader 4 /5

Instant order execution and narrow spreads

Profitable Partnership Program - up to $15 for a lot

24/7 qualified online support

미국 달러 지수 Trading Hours

미국 달러 지수

유형: 통화 지수

유동성: 높음

미국 달러 지수 – 유로화,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및 스위스 프랑을 포함한 6개의 유동 세계 통화 바스켓에 대해 계산된 미국 통화 값을 측정하기위한 벤치마크입니다. 다음 공식에 따라 주어진 환율의 유동 가중 기하 평균 평균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