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계좌의 장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1월 2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한패스카드의 2가지 디자인: 벨벳 오로라, 한패스 블루 (출처: 한패스)

BCA 디지털뱅킹 ‘블루(blu)’ 출범…밀레니얼 세대 공략

BCA 은행의 자회사 ‘Bank Digital BCA’가 새로운 금융거래 어플리케이션 ‘블루(blu)’를 출시한다. 안드로이드 앱 ‘블루’는 오늘(2일) 구글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공개된다.

‘blu’는 송금, 예금, 은행 잔액 확인 등 모든 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콜센터 및 ATM 네트워크 등 BCA가 소유한 모든 인프라와 통합되어 편리성을 더한다.

‘Bank Digital BCA’의 래니 부디아티(Lanny Budiati) 사장은 지난달 30일 공식성명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미래 재정적 대비에 관심이 많으며 금융을 어려워하면서도 디지털 기기로 무엇이든 처리하는 세대답게 온라인 정보를 활용해 스스로 관리하려는 독립적인 이슬람계좌의 장점 성향을 가지고 있다. blu는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참신한 금융생활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래니 사장은 또 “온라인으로 손쉽게 계좌를 개설할 수 있으며, 10개의 bluSaving 저축계좌로 재정을 관리할 수 있다. 고객이 원하는 만큼 손쉽게 계좌를 분리할 수 있다는 것이 무엇보다 디지털 뱅크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녀에 따르면 블루 안에는 저축 외에도 재무관리에 적합한 ‘bluGether’, 소액 충전을 위한 ‘bluDeposit’ 등이 있다. 블루는 청구서 결제, e-wallet충전, 데이터 구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송금 수수료는 무료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모든 BCA ATM에서 무료로 인출도 가능하다.

‘Bank Digital BCA’은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올해 안에 수십만 명의 고객을 유치할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은행계좌 보유율이 40%에 못 미치는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보급율은 전체 75%에 달한다. 그만큼 디지털뱅킹 서비스의 잠재력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래니 사장은 “블루가 은행 접근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고마운 솔루션이 될 것”이라면서 “이제 인도네시아에는 16-64세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BCA IT 및 디지털 운영이사 이만 센토사(Iman Sentosa)는 “현재 BCA 디지털은 보안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 디지털 생태계를 개발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은 우리의 최우선 과제다. 디지털이란 편리함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BCA룰 포함해 최소 7개 은행이 디지털뱅킹 사업을 공식화했다. 잠재력이 높은 만큼 이들의 경쟁도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패스카드의 2가지 디자인: 벨벳 오로라, 한패스 블루 (출처: 한패스)

▲한패스카드의 2가지 디자인: 벨벳 오로라, 한패스 블루 (출처: 한패스)

( 서울=뉴스코리아) 강승필 기자 = 과거 인도네시아에서 두 달여 기간의 짧은 어학연수를 다녀오게 되었을 때의 기자의 경험을 기술하고자 한다.

인도네시아에서 어학연수 기간 동안에는 계좌를 만들지 않았다. 두 달 기간이라는 짧은 기간이라서 마스터카드와 비자카드 연동이 되는 국내 체크카드로만 사용했었다. 국내 체크카드의 수수료도 부담스럽지 않았고, 단기 어학연수라 은행 계좌의 필요성을 그다지 느끼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 이제 생각해보면 인도네시아의 "OVO"," 그랩", "고젝" 등 혜택이 많은 핀테크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해, 충전에 필요한 현지 은행 계좌를 만드는 것이 더욱 편리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혹시라도 가져간 국내 체크카드를 분실할 경우, 현지에서 매우 모든 생활이 난감해지니 현지 은행 계좌를 만드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현지의 책방, 카페, 식당 등에서 다양한 프로모션 광고 · 홍보를 본 기억이 나는데, 그 당시에도 많은 현지인 분들이 일상에서 모바일 플랫폼으로 결제를 하는 모습도 많이 보았다. 그래서 이번 기사는 인도네시아에서 은행 계좌 만들기를 준비해 보았다.

인도네시아 대표적인 은행으로는 Mandiri, BNI, BCA 은행 등이 있다.

그 중 BNI 계좌 개설 방법을 설명해 보겠다. (참고로 KB국민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등 우리나라 시중은행도 모두 진출해 있으니 각자 활용하기에 편한 은행을 선택하면 된다)

인도네시아의 계좌 개설은 상당히 간단하다.

(1) 먼저, 준비물은 ITAS(KITAS) 비자, 실물여권 , 50만 루피아(한화 약 5만원), 그리고 학생증(학생인 경우) 등이 필요하다. ITAS 비자는 유학이나 단기연수, 30일 이상 장기체류를 하는 외국인들이 주로 발급받는 비자이다.

(2) ITAS 비자를 발급받았다면, ITAS 비자 사본과 앞서 말한 나머지 준비물을 챙겨 BNI 지점을 방문한다. 사전에 은행의 위치와 영업시간을 찾아보고 방문한다.

여기서 인도네시아 계좌의 특징은 첫째, 계좌유지수수료가 있다는 점이다. 매달 계좌를 유지의 명목으로 지불하는 수수료가 존재한다. 계좌에 일정 금액 이상이 저축되어 있지 않으면 수수료 일부를 매달 지불해야 한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둘째, 계좌 개설시 500,000루피아를 적립해야 한다는 점이다. 인도네시아 은행에서 계좌를 발급받을 때 500,000(한화 약 5만원)을 계좌에 충전해야 계좌 발급이 가능하다. 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닌 계좌에 충전하는 보증금인 셈이다.

참고로, 은행 지점에 방문하면 기다리는 시간이 매우 길 것이다. 인도네시아는 기다림에 매우 관대하고 여유로운 문화를 가진 나라이기에, 많은 아니 거의 모든 부문에서 느린 업무 방식이 나타날 수 있다. “빨리빨리”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느끼기에 답답함을 느끼실 수도 있으나, 인내심을 갖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기다리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이렇게 만든 현지 은행 계좌에 입금을 하기 위해 해외 송금을 해야 한다. 국내에서 출시된 해외 송금 앱을 찾아보다가 한패스에서 제공하는 한패스페이 월렛을 알게 되었다. 한패스 월렛은 한패스에 가입하면 생성되는 전자지갑으로 월렛에 잔액을 충전(한도 200만원)하면 송금 및 결제 대금으로 이용 가능하다. 월렛에 잔액을 충전하여 국내 및 해외 송금 외에도 QR송금, 제로페이 사용, ATM 출금이 가능하다. 한패스 송금 앱은 저렴한 송금 수수료와 빠른 송금 속도에 있어 독보적인 핀테크 플랫폼이다.

이슬람 계정

외환 상품을 거래하고 싶으신가요? 그런데 종교적인 이유로 제한이 있어 어려우신가요? 이러한 고민이 있으신 여러분들을 위해 AMarkets에서는 모두가 금융 시장에서 트레이딩할 수 있게 보장합니다. 이슬람 신도인 클라이언트도 이슬람 율법을 따르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이슬람 전용 계정을 개설해드립니다. 별도의 이자나 비용 청구는 없으니 안심하셔도 좋습니다.

이슬람 계정은 어떻게 개설하나요?

  1. 일반 또는 고정 계정을 개설합니다
  2. 계정 인증 후 예치금을 입금합니다
  3. 개인 정보에서 계정 타입을 이슬람 계정으로 변경 요청합니다
  4. 요청이 처리되면 계정이 이슬람 계정으로 변경됩니다

이슬람 계정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야간 수수료 없음/외환 상품 스왑

트레이딩 상품 250가지 이상*

*스왑 프리 서비스는 CFD 지수, 상품, 채권, 귀금속, 암호화폐쌍, 주식 거래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더 상세한 정보는 자주 묻는 질문과 이슬람 트레이딩 계정 이용 약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astercard

Visa

SWIFT

Perfect Money

TopChange

Skrill

Neteller

© 2007—2022 AMarkets Ltd., Beachmont Business Centre, 272, Kingstown,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All rights reserved.

세인트 빈센트의 영국재정청(FSA)에 등록번호 22567 BC 2015로 등록됨 AMarkets는 The Financial Commission회원으로 트레이더를 위한 독립적인 외부 분쟁 해결기관(EDR)입니다. Amarkets는 금융 서비스 제공업체와 직접 분쟁을 해결할 수 없는 트레이더에게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The Financial Commission은 분쟁 조정 서비스 이외에도 The Financial Commission 보상금으로 모든 트레이더에게 소송건당 최대 €20,000로 보호합니다.

위험 경고: 금융 상품 거래 위험한 활동이며 이익뿐만 아니라 손실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가능한 손실 금액은 예치금 금액에 의해 제한됩니다. 고객은 자신의 재정 능력을 고려하여 이러한 유형의 활동이 자신에게 적합한 지 스스로 결정해야합니다. AMarkets는 국가에서 시민과 거주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인도네시아 은행 종류와, 계좌 만들기

오늘은 경제생활의 필수인 은행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해. 인도네시아에는 은행이 정말 많아. 체감상 한국의 2배 3배 이상이야. 물론 인구가 많으니 당연한거 아니냐, 라고 말할수도 있지만 의외로 시골지역에 가보면 멀쩡한 다 큰 어른도 은행계좌를 안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고 은행을 뭔가 믿을 수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은 것 같아. 물론 내가 말하는 시골은 아직도 사람들이 가족 경영으로 농사짓고 사는 중세적인 동네 이야기야.

여하튼 먼저 은행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투자은행이야 이 글을 읽는 사람들하고 별로 엮일 일이 없을테니 그냥 생략하고 상업은행만 다룰게.

인도네시아의 은행은 먼저 국영은행, 사립은행, 외국계은행 그리고 번외로 샤리아 은행으로 종류를 나눌 수 있지.

1) 국영은행

인도네시아 국영 은행

먼저 국영은행은 Bank Mandiri, BRI (Bank Rakyat Indonesia), BNI (Bank Negara Indonesia) 삼대장이 있어. 하나하나가 한국으로 치면 거의 농협은행급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편할거야. 특히 Mandiri나 BRI는 네덜란드 식민시대까지 역사가 거슬러 올라가는 나름 유서깊은 은행들이라고 할 수 있지.

자산가치로 넘버원은 BRI야 인도네시아 인민은행(?)이라는 뭔가 사회주의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은행인데 BRI는 의외로 규모에 걸맞지 않게 별달리 이슈도 없고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지도 않고 뭔가 장점도 단점도 안보이는 사람들의 관심에서 좀 떨어져 있는 은행이야. 인도네시아인들도 잘모르는 사실은 은행 전산망용으로 위성을 쏴올린 적도 있는 뭔가 대인배 스러운 은행인데, 정책이 외부에서 은행에 대해 왈가왈부 하는것 자체를 별로 선호하지 않나봐. 물론 은행이 위성을 개발한건 아니고 위성과 로켓을 사서 쏜거지.

Mandiri는 BRI가 치고 올라오기 전까지는 항상 원탑이었어. 지금도 나이든 인도네시아인이나 한국인 교민 중에는 mandiri가 탑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도 많아. 직원들 월급은 아직도 BRI보다 더 나을거야. 내가 생각하기에도 단순한 자산가치말고 은행의 위상이나 금융계에서 받는 이슬람계좌의 장점 대접은 Mandiri가 아직도 BRI보다도 위에 위치하고 있는것 같아. 자체적으로 박물관도 가지고 있는 은행의 역사가 인도네시아 금융의 역사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은행이지. 여러은행을 통합해서 만든 은행이라 mandiri라는 이름 자체는 뭔가 근본이 없어.

BNI는 인도네시아국립은행이라고 이름 자체가 아무런 특징이 없는 중앙은행스러운 이름이야. 실제로 자바은행 (현재 인도네시아은행 BI) 이 발권업무를 인수하기 전까지는 BNI가 독립초창기 통화발권업무를 담당했을 정도로 중앙은행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하기도 했었지. BNI는 한국에도 지점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신기한게 히잡쓰면 안되는 룰이 있더라고. 그리고 음악 좋아하는 사람들한테 나름 국제적으로도 인지도가 있는 자바 재즈 페스티벌의 공식 스폰서라 아예 BNI 재즈 페스티벌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어.

위의 3대 국영은행은 자산규모의 차이는 있어도 지점수, 서비스 수준 등이 다 엇비슷하기 때문에 개인이라면 어디를 골라서 이용하든 큰 문제가 없고 그냥 맘에 드는 색깔로 고른다고 해도 아무 상관이 없을거야.

이 3개 은행이 자산가치, 지점수, ATM수 등 압도적이고 나름 국영은행 4위인 BTN(bank tabungan negara)도 앞의 3대은행의 절반 규모도 안되는 수준이야. 그리고 other 쯤으로 분류할 수 있는 bank kalbar, bank NTT, bank jambi, bank banten, 등 온갖 잡 국영은행이 있는데 이 은행들은 중앙정부가 아니고 각 주정부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지방재정관리용 은행이라고 할 수 있지. 본인이 주정부랑 같이 무슨 건설사업을 한다거나 하지 않은 이상 한국 사람이 이런 은행을 방문할 일은 거의 없을 거야.

2) 사립은행

인도네시아 사립 은행

사립은행의 원탑은 BCA(Bank Central Asia) 야. 담배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은행으로 한국같으면 금산분리법 때문에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지. 여담으로 BCA는 이름이 central asia이긴 하지만 우즈베키스탄이나 카자흐스탄 같은 중앙아시아랑은 1도 관련이 없는 은행이야. 이 은행의 좋은 점은 개인고객에 대한 서비스가 정말 뛰어나서 어느정도 소득이 있는 도시 거주민들이라면 대부분 BCA계좌를 하나정도 가지고 있다고 봐도 될거야.

다만 역시 사립이다 보니 3대 국영은행이라면 주민 복지차원에서 남겨두는 외딴 섬, 시골 지역 지점이나 ATM은 수익에 도움이 안된다 싶으면 가차없이 철수 시켜버리기 때문에 고립된 깡촌에 사느냐 도시 한가운데 사느냐에 따라 서비스 질이 하늘과 땅 차이지.

그 외의 사립은행은 bank mayora, bank mayapada, bank maspion, NOBU bank (이름은 일본은행같은데 리뽀그룹 소유야) 등이 있는데 이 은행들도 금산분리 따위는 씹어 먹은 인도네시아 재벌소유 은행들이야. 금산분리야 찬반 양쪽 다 일리가 있다고 생각되고 주제랑은 관련이 없으니 아무 말 않겠어.

3) 외국계은행

인도네시아 외국계 은행

인도네시아에는 외국계 은행이 정말 많아. 외국의 은행들이 투자해서 세운 은행도 있고 심지어 외국정부가 투자해서 세운 은행들도 있어. 다국적금융 계열 은행들은 이슬람계좌의 장점 대표적으로 커먼웰스은행 계열의 bank commonwealth, OCBC 계열의 bank OCBC NISP, DBS 계열의 bank DBS Indonesia, 미쓰이스미토모은행 계열의 bank BTPN (Bank Tabungan Pensiunan Negara 번역하면 국립연금저축은행이라고 이름은 완전 국영은행인데 현실은 일본계 은행) 등이 있고 이외에도 다 언급을 할 수 없을 만큼 아주 많이 있어.

인도네시아 한국계 은행

한국의 은행들도 인니 금융시장 갈라먹기에 예외는 아니라서 하나은행계열의 Bank KEB hana, 우리은행계열의 bank woori saudara, 국민은행 계열의 bank KB bukopin (Bank Umum Koperasi Indonesia 인도네시아조합상업은행이라고 이것도 이름만 봐서는 무슨 신협이나 국영은행같은데 얼마전에 국민은행에 인수당해서 한국계은행이 되어버렸지) 이 진출해 있고 이외에도 기업은행이나 신한은행도 영업을 하고 있어.

4) 샤리아 은행

이슬람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샤리아라는 이름이 낯설꺼야. 이슬람권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금융기관인데 이해를 하려면 먼저 이슬람 교리에 대하여 이해를 할 필요가 있어. 이슬람 교리에서는 이자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슬람 교리를 그대로 따르면 대출도 불가능하고 예금 적금 이런것이 전부 불법이야. 이자를 받을 수가 없는데 어떤 은행이 기업에 돈을 빌려주겠니? 또 이자가 없는데 뭐하러 적금을 들고, 수익이 없으니 은행직원 월급을 어떻게 줄 수 있겠어? 따라서 이슬람 교리를 그대로 따르면 아예 현대금융자체가 불가능해지는 수준이야. 심지어 국가가 채권을 발행해도 이자가 없는데 어느 누가 국채를 살까?

인도네시아 샤리아 은행

그래서 나온게 샤리아 은행으로 일종의 꼼수라면 꼼수라고 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해서, 이자 대신 이용료, 벌금, 임차료 등으로 이자 비슷하게 돈을 주고 받도록 하는 금융상품을 운영하는 은행이지. 세세하게 따지자면 여러 다른 부분이 존재하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이자를 이름만 바꾼 눈가리고 아웅이라고 생각해. 여튼 이런 샤리아 은행은 대부분 큰 은행들이 자회사를 세우는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어. 예를 들자면 BCA Syariah 같은 식으로. 골수 이슬람신도들을 고객으로 유치하려고 만든 껍데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은행 내부적으로는 그냥 하나의 조직과 시스템이라고 봐도 큰 상관이 없어.

이런 껍데기 샤리아 은행 말고 진짜 샤리아 은행은 사립으로는 Bank Muamalat이 있고 국영으로는 BSI (bank syariah indonesia)가 있어, 원래는 각 국영은행별로 Mandiri Syariah, BRI Syariah 등등 따로 있었는데 인도네시아 정부가 중구난방으로 흩어져있는 이 국영 이슬람계좌의 장점 샤리아은행을 모조리 모아서 하나로 통합해버린 거지. 이유는 나도 정확히 모르겠지만, 인도네시아 정부가 장기적으로 금융개혁을 추진하기 위해서가 아닐까 하고 예상하고 있어. 아무래도 한 은행안에 또 다른 은행이 존재하다보면 비자금의 창구나 회계조작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으니까.

2. 어떤 은행을 골라야 하는가?

일단 루피아 계좌는 아무래도 외국계은행보다는 인도네시아 현지의 국영은행이나 사설은행으로 고르는게 많이 편리할꺼야.

그럼 현지 국영 사설은행 중에 어떤 은행을 골라야 할까? 직장생활을 좀 해본 독자라면 바로 알 수 있을거야. 근무하는 회사 사무실 빌딩에 지점이 있는 은행이지. 이게 생각보다 굉장히 중요한게 안 그러면 은행 한번 가려고 연차나 반차를 내야 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어. 꼭 본인 회사 사무실 빌딩이 아니라도 옆건물에 있는 은행지점도 괜찮고 여하튼 접근성이 높은 은행을 골라야 해. 그렇게 접근성이 높은 은행을 찾다보면 높은 확률로 BRI, Mandiri, BNI의 국영은행 3대장이 아니면 BCA를 고르게 될거야. 나는 내가 근무하는 회사 건물에 BCA지점이 있어서 BCA계좌를 가지고 있어. 예전에 모바일뱅킹이 블록된 적이 있었는데 한 건물안에 은행지점이 있었기 때문에 슬그머니 대충 갔다 올 수 있었지.

실제로 회사에서 그냥 계좌를 만들어 주는 경우에도 같은 건물안에 있는 지점의 계좌를 열어줄 경우가 많을 거야. 회계 담당직원이랑 같이 쉽게 가서 만들수 있으니, 아니라면 그냥 계좌를 하나 더 만들어도 상관이 없고.

‘아니 그건 최소 대도시 시내에 근무하는 배부른 사람들 한테나 해당되는 말 아닌가? 내 직장은 중부 자바 한가운데 심심하면 전기도 끊기는 촌구석이라고! 장난해?’ 하는 사람들도 있을 거야. 이런 사람들을 위한 노하우는 바로 공휴일 운영지점이야.

3대 국영은행 및 BCA는 각 주요도시에 토일요일 운영하는 지점을 가지고 있어. 물론 자카르타에 제일 많지만 반둥, 스마랑 같은 자바섬 내의 도시들부터 마카사르, 팔렘방, 메단 같은 타 지역섬의 도시에도 공휴일 운영지점을 가지고 있어. 그러니 본인의 공장에서 가까이 있는 휴일 운영지점을 확인해서 해당하는 은행의 계좌를 만들면 편할꺼야.

그럼 공휴일에 운영하는 지점을 어떻게 확인하냐고? 구글로 검색을 해도 되고 해당은행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한국의 은행보다 확실한 장점인데 웃기게도 인도네시아에서 최소 3~4년 이상 살고 인도네시아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나서는 사람들 조차 토일요일 은행 영업한다는 사실을 모르더라. 여담이지만 미국도 토일요일 운영하는 은행지점들이 있어. 이런 부분은 한국의 은행들이 배워야 할 점이야.

그런데 만약 미국달러, 싱가포르달러 등 외화 계좌를 만든다면 이야기는 전혀 달라져, 웃기게도 위의 기준을 따라 고른다면 고스란히 은행에 본인의 외화를 헌납하게 될거야. 왜냐하면 국영은행이나 로컬 사립은행은 외화예금에 대하여 이자는 커녕 계좌유지비라는 명목으로 예금에서 돈을 빼가거든.

외화를 운영한다면 반드시 외국계 은행을 이용하도록 해야해. 많은 외국인들이 OCBC, HSBC의 외화 통장을 사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한국교민들은 Woori Saurada, KEB Hana의 외화통장을 사용하고 있어. 한국계은행을 사용하는 이유는 한국의 동일 은행계좌로 송금을 할때 일단 송금수수료가 저렴하고 둘째로 온갖핑계로 돈을 물리는 현지은행들과는 달리 일정금액 이상을 예치하고 있다면 계좌유지비조차 무료이기 때문이지. 이제 KB Bukopin이라고 하나 더 생겼으니 선택의 폭이 조금 더 늘어난거야. (하나은행은 최근에 사고를 쳐서 말이 많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을게.)

3. 계좌를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계좌를 만드는 것 자체는 한국과 다를바없고 여권, KITAS 정도만 들고가서 신청서를 작성하면 되기 때문에 굳이 설명할 것이 없어. 다만 한가지 주의 사항은 계좌를 만들때 등록한 휴대폰 번호가 모바일 뱅킹에 연동될 수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나중에 전화번호를 바꾸게 되면 반드시 다시 은행에 새 번호를 등록하는 것이 좋아.

그리고 가끔 이상한 사유로 모바일뱅킹이 블록된다거나 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보험 차원에서 SMS뱅킹도 등록해 두는 것도 나쁘지 않아.

인기검색어

첨부파일 PA 15-26 (전략 01) 아세안 금융시장의.pdf 원문다운하기 미리보기

아세안 금융시장은 국내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기 어려운 한국 금융산업의 지속적·안정적 성장을 위한 주요 전략시장으로, 국내 금융기업들이 진출하여 해당국 금융기관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아세안의 금융산업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함께 금융산업의 경쟁구도까지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아세안은 금융인프라의 선진화와 금융 이슬람계좌의 장점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아세안 금융통합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금융통합이란 협의로는 동일한 제도의 적용, 금융거래 및 접근 비용의 동일성을 의미하며, 광의의 개념으로는 국가 간 경계를 넘어 금융시장의 연계성이 증가하는 상태나 현상으로 정의된다.
결국 아세안 금융통합은 명시적으로는 아세안(ASEAN) 소속 국가간 금융시장의 통합을 의미하고,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아세안 역내 투자(자본거래) 및 무역(상품과 서비스 거래)의 증진을 통해 상호간 경제성장의 시너지를 촉진하고 공동체 형성을 가속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아세안 내 국가간 경제규모나 금융산업의 발전 정도에 있어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기에 금융통합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단일화된 금융시장으로 정착하고 작동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럼에도 현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해외 진출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국내 금융회사에 있어 높은 경제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는 아세안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인바, 이 지역의 경제 및 금융시장의 변화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아세안 각 국가, 특히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의 현황과 특징을 면밀히 검토하고, 아세안 금융통합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금융시장 및 산업 부문에서 예상되는 변화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국내 금융기업의 동남아 진출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몇 가지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우선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진출과 관련된 기존의 보고서가 주로 간단한 현황을 제시하는 브리프 형태이거나 금융회사의 일반적인 해외 진출전략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아세안 지역에 보다 특화된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존재한다. 둘째, 아세안 금융통합이 진행되면서 아세안 지역의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에 나타난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일관된 체계하에 아세안 주요 4개국을 비교·분석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즉 거시경제 환경, 금융시장 환경과 현황, 그리고 금융산업 현황 및 발달 정도 등과 관련된 변수들을 최대한 동일하게 적용하여 아세안 주요 4개국의 지역간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했다.
아세안 금융산업 부문에서도 아세안 각 국가별 감독 체계 및 해외 투자자들에 대한 인허가 규제, 그리고 아세안 역내 주요 은행과 금융투자업의 현황과 해외 진출전략 등을 동일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정리·제시하고 있어 국내 금융회사의 경쟁력 파악과 이슬람계좌의 장점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부의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본 연구가 아세안 지역으로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국내 금융회사의 경쟁 상대가 될 만한 주요 은행과 금융투자회사에 대한 영업전략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국내 금융회사들의 해외 진출전략이나 혹은 경쟁력 강화전략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가장 큰 장점은 아세안의 경제와 금융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매뉴얼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에 특정 지역에 관심을 가진 이해관계자가 지역 경제 현황, 금융감독 제도, 해외 금융회사들에 대한 조사 등 각자 필요한 각각의 자료를 필요한 형태에 따라 분산해서 연구하던 내용들을 아세안이라는 지역에 특화하고, 금융회사들의 해외 진출 시 반드시 필요한 해당국 경제,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 현황 등에 관련된 주요 분석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고가 금융회사의 업무를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고 이를 토대로 지역 여건에 적합한 진출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금융회사와 정부의 정책담당자에게 매우 흥미롭게 활용될 것이라 예상된다. 본 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아세안 금융통합과 그 추진 현황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아세안에 속한 주요 국가들의 역사적·지리적 특징과 함께 거시 경제, 금융시장 및 금융산업의 현황을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거시적 경제현황을 대내외적으로 구분하여 전자에서 GDP, 이슬람계좌의 장점 1인당 GDP 및 경제성장률과 산업 구조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후자에서 수출입 교역규모 및 특징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환율, 기준금리, 인플레이션 및 실업률 등의 주요거시경제지표를 함께 검토한다. 다음으로 아세안 주요 국가별 은행업 및 금융투자업 현황을 통해 금융산업의 특징도 함께 논의한다. 특히 아세안 금융산업에서 ‘이슬람금융’은 매우 중요한 의미와 비중을 지니므로, 이슬람금융을 국가별 분석과 별도로 구분하여 부록에 설명하고 현황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아세안 금융통합의 현황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특히 아세안 금융통합과 EU와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아세안 금융통합의 한계를 파악한다. 또한 아세안 금융통합 과정이 아세안 금융시장과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아세안 금융통합으로 인한 금융환경 변화가 역내 금융회사들의 비즈니스전략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국내 금융기관들의 해외 진출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아세안 주요 금융회사의 경쟁력과 그들의 동남아 진출 특징을 우선 분석하고, 국내 금융회사들의 아세안 진출 현황, 특징, 그리고 한계점을 제시한다. 아세안 주요 이슬람계좌의 장점 이슬람계좌의 장점 국가별 경제 및 금융시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싱가포르는 GDP 및 1인당 GDP가 아세안 지역에서 독보적이다. 싱가포르의 주력산업은 서비스업으로 GDP에서 70% 이상을 차지하며 수출입 교역 규모는 1조 달러를 상회한다. 싱가포르는 통화정책에서 자국 단기금융시장에서의 이슬람계좌의 장점 공개시장 조작정책보다는 외환정책을 더욱 중시하는 국가로 세계 최상급 금융 경쟁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무엇보다도 적극적 시장 개방에 기인한다. 일종의 역외 금융시장인 아시아달러시장(ADM)은 싱가포르의 금융 개방을 뒷받침하는 주요한 인프라이다.

제2장 아세안 금융시장 및 산업 현황
1. 주요 국가별 경제 및 금융시장 현황
가. 싱가포르
나. 말레이시아
다. 태국
라. 인도네시아
2. 주요 국가별 금융산업 현황
가. 싱가포르
나. 말레이시아
다. 태국
라. 인도네시아
3. 주요 국가별 금융감독 체계 및 특징
가. 싱가포르
나. 말레이시아
다. 태국
라. 인도네시아

제3장 이슬람계좌의 장점 아세안 금융통합의 현황과 시사점
1. 아세안 금융통합 추진과정
가. 아세안의 역사와 경제공동체(AEC)
나. 아세안 금융통합 추진과정
2. 아세안 금융통합 추진과정 전후 비교와 한계
가. 금융통합 추진과정의 전후 비교
나. 아세안 금융통합 한계 및 개선방안
3. 아세안과 EU 금융통합의 차이점
가. EU 금융통합 경험
나. 최근 EU 금융통합의 변화
다. EU 금융통합과 아세안 금융통합의 차이
4. 소결

제4장 국내 금융산업의 아세안 진출 대응전략
1. 아세안 주요 금융회사들의 동남아 진출사례
가. (유형 1)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금융회사 사례 분석
나. (유형 2) 인도네시아 Mandiri
다. 주요 금융업 사례 분석의 시사점
2. 국내 금융회사의 아세안 진출 현황과 한계점
가. 아세안 진출 현황
나. 국내 금융회사의 아세안 진출 한계점
3. 국내 금융회사의 아세안 진출전략
가. 아세안 지역 경제 및 금융시장 환경 비교
나. 사업영역별 아세안 지역 진출전략
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기타 논의되어야 할 사항

부록
1. 이슬람 금융산업 개요
2. 이슬람 금융산업의 구조
3. 이슬람 은행산업 현황
4. 이슬람 금융상품
5. 이슬람 금융펀드
6. 각국의 이슬람금융 현황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